BUSAN SEOUL HAJUNG

진단

하지정맥류의 진단

육안검사를 하고, 혈관초음파 등 검사 장비를 사용하여 정맥류 존재여부와 심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위해 정확한 진단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정맥류의 치료는 중요한 혈관들을 다루는 것이므로 진단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 입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심부정맥, 관통정맥, 교통정맥, 표재정맥의 기능부전과 심부정맥의 상태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또한 인접한 동맥과의 해부학적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만 수술적인 오류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

특수한 기계의 사용없이 의사가행하는 진찰행위를 "이학적 검사"라고합니다. 하지정맥류의 경우 육안으로 정맥류의 범위와 상태를 관찰하며 피부염이나 색소침착등의 합병증 유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촉진하여 맥의 탄력성, 두께 등을 알 수가 있고 경험 많은 혈관외과의사인 경우 혈액의 역류의 범위와 정도를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진찰은 대개 서서 시행되나 혈관의 소개(emptying)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누워서 시행되며 하지의 거상(elevation)을 반복하여 볼 필요가 있습니다. 혈관계의 이학적 검사에는 핸드 도플리(hand-doppler)' 라는 간단한 기계를 이용하면 혈류의 역류를 비교적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혈관초음파 검사

혈관질환에서 가장 기초적인 검사로서 최근 들어 기능과 해상도가 획기적으로 발전하여 혈관수술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심부정맥, 표재정맥, 정맥의 접합부, 관통정맥 그리고 교통정맥 등의 위치와 형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해부학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또한 이 검사는 동맥과 정맥에 흐르는 혈류의 양, 혈류흐름의 방향, 혈류의 속도 등의 기능적 분석이 가능한 검사입니다.
해부학적 분석과 기능적 분석을 동시에 시행하는 검사 즉 두가지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다는 의미로 듀플렉스 스캔(duplex scan)이라고도 합니다. 정밀한 혈관초음파를 적절하게 이용함으로 하지정맥류의 원인이 되는 정맥혈의 역류부위를 찾을 수 있고 이러한 역류부위의 확인이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입니다. 관통정맥과 관통정맥의 역류, 표재정맥의 역류, 심부정맥의 상태 그리고 동정맥 기형 등 하지의 정맥계통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치료시에도 매우 중요하여 수술실에서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주사경화요법시에도 실시간으로 사용하여 정확한 해부학적 치료를 행하게 해주는 검사입니다.

정맥 촬영법

정맥내 조영제를 주입후 심부정맥과 표재정맥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피는 방법입니다. 과거에 표준적 진단법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점차 혈관초음파검사법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광혈류 측정

적혈구가 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검사로 표재정맥의 혈액량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혈액량의 증감에 따라 적외선의 반사량이 감소하므로 그 혈액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정상적인 피의 역류 장소가 표재성인지 심부정맥인지를 감별 진단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심부정맥혈전증 유무도 검사할수 있습니다.

3차원 CT

3차원 CT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방사선 노출이 많으며 혈관초음파검사에서 얻을수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잘 이용되지 않습니다.

오래 서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 종아리 근육이 이완되어 있어 강력한 수축력을 받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하지 정맥이 늘어나게 되고 판막을 맞닿지 못해 혈액이 역류하거나 고이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정맥 벽이 늘어나 종아리와 허벅지에 청색 또는 자주색을 가진 혈관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는데 이를 하지 정맥류라고 합니다.